블로그 글자수 쉽게 세는 방법 3가지 소개합니다!
목차
- 네이버 블로그 글자수 세기
- 리뷰언즈 엔서포터 활용하기
- 소스코드 입력을 통한 실시간 글자수 확인
1. 네이버 블로그 글자수 세기
네이버 블로그를 사용하신다면, 가장 간편하게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은 바로 네이버 블로그 자체 기능을 이용하는 것입니다.
1.1 작성 도중 글자수 확인
- 작성 도중 마커가 있는 곳의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마커가 있는 부분의 오른쪽 하단에 글자수가 표시됩니다.
- 짧은 문단의 글자수를 빠르게 확인하고 싶을 때 유용합니다.
1.2 전체 글자수 확인
- 블로그 글 작성을 완료한 후에는 글 수정 페이지에서 전체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 글 수정 페이지 오른쪽 상단에 글자수가 표시됩니다.
- 이미지와 공백을 포함한 전체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 리뷰언즈 엔서포터 활용하기
크롬 브라우저를 사용하신다면 리뷰언즈 엔서포터라는 확장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2.1 리뷰언즈 엔서포터 설치
- 크롬 웹 스토어에 접속하여 리뷰언즈 엔서포터 검색 후 추가 버튼을 클릭합니다.
- 확장 프로그램 페이지에서 리뷰언즈 엔서포터 확장 프로그램이 설치됨 상태인지 확인합니다.
2.2 글자수 확인
- 블로그 글 작성 페이지를 열고 마커를 원하는 위치에 놓습니다.
- 리뷰언즈 엔서포터 확장 프로그램 아이콘을 클릭하면 마커가 있는 부분의 글자수가 표시됩니다.
3. 소스코드 입력을 통한 실시간 글자수 확인
블로그 플랫폼에 따라 다소 차이가 있지만, 소스코드를 직접 입력하여 실시간으로 글자수를 확인할 수 있는 방법도 있습니다.
3.1 티스토리 블로그
- 티스토리 블로그 관리자 페이지에서 설정 > 블로그 설정 > 편집기 메뉴로 이동합니다.
- 사용자 정의 스크립트 란에 다음 소스코드를 입력합니다.
function charCount() {
var el = document.getElementById('cke_editor_contents');
var text = el.innerText;
var count = text.length;
document.getElementById('charCount').innerHTML = count + '자';
}
setInterval(charCount, 100);
- 편집기 설정에서 사용자 정의 CSS/Javascript 옵션을 사용함으로 변경합니다.
- 저장 버튼을 클릭합니다.
3.2 네이버 블로그
- 네이버 블로그 작성 도중 소스 탭을 클릭합니다.
- 다음 소스코드를 head 태그 안에 입력합니다.
<script>
function charCount() {
var el = document.getElementById('cke_editor_contents');
var text = el.innerText;
var count = text.length;
document.getElementById('charCount').innerHTML = count + '자';
}
setInterval(charCount, 100);
</script>
- 다음 소스코드를 body 태그 끝에 입력합니다.
<div id="charCount" style="margin-top: 10px;"></div>
4. 추가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방법들
- 온라인 글자수 체크 도구: 네이버, 다음 등 검색창에 “글자수 세기”라고 입력하면 다양한 온라인 글자수 체크 도구를 이용할 수 있습니다.
- 워드프로세서: 워드, 한글 등 워드프로세서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