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벽걸이 에어컨 3평형 설치, 전문가 없이도 가능한 매우 쉬운 방법!

✨벽걸이 에어컨 3평형 설치, 전문가 없이도 가능한 매우 쉬운 방법!

배너2 당겨주세요!

목차

  1. 🛠️ 3평형 벽걸이 에어컨, 셀프 설치가 가능할까요?
  2. 🔍 설치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준비물 및 장소 선정
  3. 🪜 실내기 설치: 벽걸이 에어컨의 핵심 작업
  4. 🌬️ 배관 연결 및 실외기 설치: 냉방 성능을 결정짓는 단계
  5. 🔌 진공 작업 및 시운전: 완벽한 마무리를 위한 필수 코스
  6. 💡 셀프 설치 시 주의사항 및 꿀팁

🛠️ 3평형 벽걸이 에어컨, 셀프 설치가 가능할까요?

최근 벽걸이 에어컨 3평형과 같은 소형 에어컨은 설치 구조가 비교적 간단하여 일반인도 매우 쉬운 방법으로 셀프 설치를 시도하는 경우가 늘고 있습니다. 특히 3평형 모델은 원룸, 작은방, 공부방 등 좁은 공간에 적합하며, 부품의 무게나 크기가 부담스럽지 않아 초보자도 충분히 도전해 볼 만합니다. 물론 전문적인 기술이 필요 없는 것은 아니지만, 기본적인 공구 사용법과 안전 수칙만 숙지한다면 설치 비용을 크게 절약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이 블로그에서는 벽걸이 에어컨 3평형 매우 쉬운 방법을 단계별로 자세히 안내하여, 여러분도 혼자서 시원한 여름을 맞이할 수 있도록 도와드리겠습니다.


🔍 설치 전, 반드시 확인해야 할 준비물 및 장소 선정

셀프 설치의 성공은 철저한 준비에서 시작됩니다.

필수 준비물:

  • 에어컨 본체 및 부속품: 실내기, 실외기, 동관(배관), 전선, 드레인 호스 등. 배관 길이는 실내기와 실외기의 거리를 고려하여 여유 있게 준비해야 합니다.
  • 기본 공구: 전동 드릴(콘크리트 벽 타공용 해머 기능 필수), 수평계, 몽키 스패너, 동관 커터기, 니퍼, 절연 테이프, PVC 테이프(배관 마감용), 실리콘(타공 구멍 방수 마감용).
  • 전문 공구(선택): 진공 펌프매니폴드 게이지는 냉매 라인 속 공기와 습기를 제거하는 진공 작업에 필수적입니다. 이 장비가 없으면 에어컨 성능이 저하되므로, 없다면 대여하거나 ‘자가 진공법’을 고려할 수 있으나, 전문 장비 사용을 강력히 권장합니다.

장소 선정:

  • 실내기 위치: 냉기가 방 전체로 골고루 퍼질 수 있는 높은 위치, 벽 중앙에 가까운 곳이 좋습니다. 주의: 직사광선이 닿지 않고, 습기가 적은 곳을 선택하세요.
  • 실외기 위치: 통풍이 잘되고 직사광선을 피할 수 있는 곳, 실내기와의 배관 거리가 가장 짧은 곳이 효율적입니다. 실외기 주변에는 최소 30cm 이상의 공간을 확보하여 열 교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합니다. 또한, 실외기에서 발생하는 소음이나 진동이 이웃에게 피해를 주지 않도록 유의해야 합니다.

🪜 실내기 설치: 벽걸이 에어컨의 핵심 작업

실내기 설치는 냉방 효과와 미관을 좌우하는 중요한 단계입니다.

1. 설치판 고정:

  • 실내기가 설치될 벽면에 수평계를 사용하여 설치판(브래킷)의 위치를 정확하게 잡습니다. 설치판은 실내기를 지탱하는 핵심 부품이므로 수평이 매우 중요하며, 기울어지면 드레인(물 빠짐)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 연필로 고정할 위치를 표시한 후, 전동 드릴을 이용하여 표시된 지점에 구멍을 뚫고 칼블록(앙카)을 삽입합니다.
  • 나사를 이용해 설치판을 벽에 단단히 고정합니다.

2. 벽 타공:

  • 실내기 배관이 지나갈 구멍을 뚫습니다. 이 구멍은 실내기 설치판의 배관 출구와 연결되어야 하며, 실외기 쪽으로 약간 기울어지게 뚫어야 물이 역류하지 않고 잘 빠져나갑니다.
  • 홀쏘(Hole Saw)함마 드릴을 사용하여 배관 지름보다 약간 큰 구멍(약 65mm)을 안전하게 타공합니다. 타공 시 발생하는 분진에 주의하고, 주변을 정리합니다.

3. 배관 및 전선 준비:

  • 실내기 뒷면의 배관 출구에 동관(냉매 배관), 드레인 호스(물 빠짐 호스), 연결 전선을 정리하여 벽 타공 구멍으로 빼냅니다.
  • 이때, 배관, 전선, 드레인 호스를 PVC 테이프를 이용해 하나의 묶음으로 단단히 감아 정리하면, 깔끔하고 설치가 용이해집니다. 드레인 호스는 항상 아래쪽으로 경사지게 하여 물이 고이지 않도록 합니다.

4. 실내기 걸기:

  • 준비된 배관 묶음을 타공 구멍으로 넣으면서, 실내기를 설치판의 상단 후크에 먼저 걸고, 아래쪽을 눌러 완전히 결합시킵니다. 실내기가 벽에 완전히 밀착되었는지 확인합니다.

🌬️ 배관 연결 및 실외기 설치: 냉방 성능을 결정짓는 단계

냉매가 순환하는 배관 연결은 에어컨 성능에 직결되는 가장 중요한 부분입니다.

1. 동관 플레어링(Flare) 작업:

  • 실내기 및 실외기와 연결될 동관의 끝부분을 플레어링 툴을 사용하여 나사선 모양에 맞게 나팔꽃 모양으로 확장하는 작업입니다.
  • 이 작업이 정밀해야 냉매 누설을 막을 수 있습니다. 동관 커터기로 배관을 직각으로 자르고, 내부 이물질을 제거한 후, 플레어링 너트를 끼우고 툴로 확장합니다. 초보자에게는 다소 어려울 수 있으므로, 정확한 사용법 숙지가 필요합니다.

2. 실내기-실외기 배관 연결:

  • 플레어링이 완료된 동관을 실내기 및 실외기의 해당 서비스 밸브(가는 배관-액체관, 굵은 배관-가스관)에 연결합니다.
  • 몽키 스패너를 사용하여 너트를 너무 강하지 않게, 하지만 단단하게 조입니다. 과도하게 조이면 너트가 파손되거나 배관 연결부가 변형되어 냉매가 누설될 수 있습니다.

3. 실외기 설치 및 고정:

  • 실외기를 통풍이 잘되는 평평하고 단단한 곳에 놓고, 앙카볼트 등을 이용해 움직이지 않도록 견고하게 고정합니다. 진동 방지 고무패드를 사용하면 소음을 줄일 수 있습니다.

4. 전선 연결:

  • 실내기와 실외기에 연결된 전선을 각 기기의 단자대에 표시된 번호(L, N, 1, 2 등)에 맞게 정확하게 연결합니다. 전선 연결 오류는 에어컨 고장의 주요 원인이므로, 반드시 매뉴얼을 확인해야 합니다.

🔌 진공 작업 및 시운전: 완벽한 마무리를 위한 필수 코스

진공 작업은 배관 내부의 공기와 수분을 제거하여 냉매 순환을 최적화하고 에어컨의 수명과 성능을 보장하는 가장 중요한 단계입니다.

1. 진공 작업:

  •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주로 가스관 굵은 쪽)에 매니폴드 게이지를 연결하고, 게이지에 진공 펌프를 연결합니다.
  • 진공 펌프를 작동시켜 배관 내부를 최소 30분 이상 진공 상태로 만듭니다. 게이지 바늘이 $-30 \text{inHg}$ 또는 $-76 \text{cmHg}$에 도달하면 진공 펌프를 끄고 게이지를 확인하여 진공도가 유지되는지 점검합니다. 압력 변화가 없다면 누설이 없다는 의미입니다.
  • 진공이 확인되면, 실외기의 서비스 밸브를 완전히 열어 냉매를 배관으로 흘려보냅니다.
  • 게이지와 진공 펌프를 분리하고, 서비스 밸브 캡을 단단히 잠급니다.

2. 타공 구멍 마감:

  • 실내외를 연결하는 타공 구멍 주변을 우레탄 폼이나 실리콘으로 꼼꼼하게 막아 빗물 유입, 해충 침입, 외풍을 차단합니다.

3. 시운전:

  • 전원을 연결하고 에어컨을 켜서 시운전을 합니다.
  • 찬 바람이 잘 나오는지, 실내기에서 이상 소음이 없는지, 드레인 호스로 물이 잘 빠지는지 등을 확인합니다. 최소 10분 이상 작동시켜 냉방 성능을 확인해야 합니다.

💡 셀프 설치 시 주의사항 및 꿀팁

안전 최우선:

  • 전기 작업 시에는 반드시 전원을 차단하고 진행합니다.
  • 높은 곳 작업 시 안전모안전벨트를 착용하는 등 안전 수칙을 철저히 지켜야 합니다.

누설 점검 꿀팁:

  • 배관 연결 후 비눗물을 발라 기포가 생기는지 확인하는 누설 점검은 필수입니다. 특히 플레어 너트 연결 부위에 집중합니다.

효율적인 드레인:

  • 드레인 호스는 실내기보다 낮은 곳으로, 물이 고이지 않도록 경사를 주어 설치해야 합니다. 호스가 꼬이거나 꺾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배관 정리:

  • 외부로 노출되는 배관은 PVC 테이프를 이용해 깔끔하게 감싸서 자외선과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해야 내구성이 높아집니다.

벽걸이 에어컨 3평형 매우 쉬운 방법으로 셀프 설치에 성공한다면, 여러분은 큰 성취감과 함께 시원한 여름을 맞이할 수 있을 것입니다. 단계별 가이드를 꼼꼼히 따라 안전하고 완벽하게 설치를 마무리하시길 바랍니다.

Leave a Comment

이 포스팅은 쿠팡 파트너스 활동의 일환으로, 이에 따른 일정액의 수수료를 제공받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