자발적 퇴사 후에도 실업급여 받는 방법: 쉬운 꿀팁 대방출!
목차
-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 핵심! 자발적 퇴사 후 실업급여 받는 5가지 방법
2.1. 퇴사 사유가 회사의 귀책 사유인 경우
2.2. 육아, 출산, 병·상해 등으로 인한 퇴사
2.3. 교육·훈련을 위해 퇴사한 경우
2.4. 일용노동자로 90일 이상 근무한 경우
2.5. 기타 정당한 사유로 인한 퇴사 -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신청 방법: 5단계 가이드
3.1. 1단계: 퇴사 확인 및 퇴직서 발급
3.2. 2단계: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및 구직등록
3.3. 3단계: 수급자격 인정 신청
3.4. 4단계: 구직급여 신청
3.5. 5단계: 구직활동 및 실업급여 지급 - 주의 사항 및 추가 정보
1.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받을 수 있을까?
많은 사람들이 자발적 퇴사는 실업급여를 받을 수 없다고 생각하지만 사실은 다릅니다. 퇴사 사유에 따라 자발적 퇴사 후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경우가 있습니다.
2. 핵심! 자발적 퇴사 후 실업급여 받는 5가지 방법
다음은 자발적 퇴사 후에도 실업급여를 받을 수 있는 5가지 방법입니다.
2.1. 퇴사 사유가 회사의 귀책 사유인 경우
- 회사 경영상의 이유로 인한 해고 또는 휴직 권고
- 업무상 부상 또는 질병으로 인한 퇴사
- 성희롱, 모랄ハラスメント 등 부당한 대우로 인한 퇴사
- 기타 회사의 잘못으로 인한 퇴사
2.2. 육아, 출산, 병·상해 등으로 인한 퇴사
- 육아 또는 출산으로 인해 퇴사한 경우
- 본인 또는 배우자, 직계존속 가족의 병·상해로 인해 퇴사한 경우
- 육아 또는 병·상해로 인해 퇴직을 하지 않고는 지속적인 근무가 어려운 경우
2.3. 교육·훈련을 위해 퇴사한 경우
- 국가 또는 공공기관에서 주관하는 직업훈련을 위해 퇴사한 경우
- 사업주가 지시하는 직업훈련을 위해 퇴사한 경우
2.4. 일용노동자로 90일 이상 근무한 경우
- 퇴사 전 1년 동안 180일 이상 고용보험에 가입되어 있고, 그 중 최소 90일 이상 일용노동자로 근무한 경우
2.5. 기타 정당한 사유로 인한 퇴사
- 위의 조건에 해당하지 않지만, 정당한 사유로 퇴사한 경우 고용센터에 문의하여 실업급여 수급 가능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3. 자발적 퇴사 실업급여 신청 방법: 5단계 가이드
다음은 자발적 퇴사 후 실업급여를 신청하는 방법입니다.
3.1. 1단계: 퇴사 확인 및 퇴직서 발급
- 퇴사 전에 퇴사 사유가 위에서 언급한 조건에 해당하는지 확인합니다.
- 퇴사 후에는 퇴직서를 발급받아 둡니다.
3.2. 2단계: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 방문 및 구직등록
- 거주지 관할 고용센터를 방문하여 실업급여 신청을 위한 구직등록을 합니다.